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북송 사건이 일어나기 몇 개월 전인 2019년 2월 하노이 북미정상회담이 결렬된 이후 당시 청와대는 남북관계 돌파구를 찾기 위해 고심했습니다.<br> <br>무엇보다 북한을 자극하지 않으려고 애를 쓴 것으로 보이는데요. <br> <br>당시 청와대가 정보당국에 '공작'이란 표현을 쓰지 말라고 하면서, 국정원의 조직 이름까지 바뀐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> <br>유주은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문재인 정부 청와대가 지난해 초 국가정보원이 작성하는 대북 보고서에서 '공작'이라는 표현을 쓰지 말 것을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<br>복수의 정보당국자들은 당시 국정원 대북공작국의 보고서를 보고 받던 청와대가 '국정원이 왜 북한을 상대로 공작을 하냐'며 부정적인 입장을 전달했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><br>이후 '청와대 지시사항'이라는 이유로 국정원 내부에서는 더 이상 대북보고서에 '공작'이란 단어를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청와대의 주문은 조직 개편으로까지 이어졌습니다. <br><br>북한 및 해외 정보를 담당하는 국정원 1차장 산하의 북한 담당 부서 이름에서 '공작' 표현이 빠지고 북한 1,2,3국으로 간소화 된 겁니다.<br> <br>[문재인 / 전 대통령(지난해 6월)] <br>"국정원은 국내 정보조직의 개편을 단행하고…이제 국정원이 다시 과거로 돌아가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." <br> <br>채널A는 박지원 전 국정원장의 해명을 듣기 위해 연락을 취했으나 닿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유주은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조성빈<br /><br /><br />유주은 기자 grace@donga.com